저번 게시글에서 Nginx를 활용하여 도메인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Certbot을 사용하여 이전에 설정하였던 도메인의 프로토콜을 HTTP 에서 HTTPS 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Nginx 설정 우선 이전 게시글에서 설정한 Nginx 설정 파일에 Certbot이 SSL 인증서 발급을 위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Nginx와 Certbot을 활용한 SSL 적용

OAuth2 알아보기
OAuth2? OAuth2는 권한 부여 프레임워크라고 부르며, 타사 웹 사이트나 웹이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게 허용해주는게 목적인 프레임워크이다. 종종 OAuth2를 위임 프로토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HTTP Basic 인증을 이용한다면 모든 요청에 대해 반복적으로 자격 증명을 보내야 한다. 즉, 이 인증은 네트워크를 통해 자...

DNS와 도메인 알아보기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www.naver.com 과 같이 도메인을 입력하면, 이 도메인을 실제 IP 주소로 변환하여 실제 서버로 접속시켜주는 DNS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다. DNS? DNS(Domain Name System)은 도메인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으로,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웹 브...

Nginx를 활용하여 도메인 설정하기
도메인은 IP 주소보다 기억하기 쉽고, 변경이 필요할 때 서버 IP를 바꾸더라도 DNS만 수정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www.naver.com과 같은 도메인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이번 글에서는 Nginx를 활용한 도메인 설정 방법을 알아보겠다. 예제에서는 Spring을 사용하지만, Vue나 React와 같...

VPC와 Subnet
VPC? VPC(Virtual Private Cloud)는 여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논리적으로 격리된 네트워크 공간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만의 사설망을 만들 수 있고,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Subnet? Subnet은 VPC 내부의 네트워크를 더 세분화한 것이다. 하나의 VPC안에서 여러 개의 Subn...

CI/CD?
CI? 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통합)는 개발자가 코드를 자주 병합하고, 이 과정에서 자동화된 빌드 및 테스트를 실행하여 코드 품질과 안정성을 검증하는 과정이다. 주요 목적은 코드 변경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빠르게 발견하고 해결하는 것이다. CI의 핵심 짧은 주기의 코드 커밋: 긴 주기의 커밋은 변경 사...
Docker의 진화와 내부 구조 (containerd, runc, containerd-shim의 역할)
Docker의 역사 Docker는 처음 나왔을 때, 하나의 데몬 프로세스(Docker Daemon == dockerd)가 컨테이너의 생성, 관리, 실행 등 모든 작업을 처리했다. 그러나 Docker가 인기를 얻고, 컨테이너 기술이 확장되면서 dockerd에서 모든 기능을 처리하는 것이 점점 더 복잡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ocker는 컨테이...
Docker?
도커(Docker)란 소프트웨어 컨테이너화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게 개발, 배포,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컨테이너화 기술은 개발자가 코드와 그 코드의 모든 종속성을 함께 묶어 컨테이너(Container)로 배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간단하게 말하면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Container? 컨...

스프링 빈 / 스프링 컨테이너
앞선 게시글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객체를 직접 생성하고 관리하는 대신 스프링 빈으로만 등록하면 된다고 했었다. 그럼 스프링 빈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자바 빈? 자바 빈은 자바 객체를 나타내기 위한 규약(Getter/Setter, 기본생성자 등)일 뿐이다. 스프링 빈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스프링 빈이란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

객체 지향 특징 / SOLID 원칙
앞선 게시물에서 의존주입을 사용하면 객체 지향 특징을 잘 지킬 수 있으며 쉽게 객체 지향 설계를 만족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럼 객체 지향의 특징과 객체 지향 설계 원칙에 대해 알아보자. 객체 지향 특징 캡슐화 객체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데이터 접근과 조작방법을 제한하는 기법이다. 즉, 외부의 무분별한 데이터 접근을 막는 방법으로 외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