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DNS와 도메인 알아보기
Post
Cancel

DNS와 도메인 알아보기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www.naver.com 과 같이 도메인을 입력하면, 이 도메인을 실제 IP 주소로 변환하여 실제 서버로 접속시켜주는 DNS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다.

DNS?

DNS(Domain Name System)은 도메인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으로,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www.naver.com 을 입력하면 DNS가 이 도메인을 올바른 IP 주소로 변환하여 네이버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Domain?

도메인(Domain)은 인터넷 상에서 웹 사이트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이름이다.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서브도메인, 도메인 이름, 그리고 최상위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1
2
www        .naver      .com
서브도메인    도메인 이름    최상위 도메인

Name Server?

네임서버(Name Server)는 DNS의 핵심 구성 요소로, 도메인 이름에 대한 실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이다.

DNS 작동 과정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www.naver.com 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과정이 진행된다.

  1. 로컬 DNS 캐시 확인
    • 브라우저 또는 운영체제는 최근 접속한 웹 사이트의 DNS 정보를 캐시에 저장하여, 동일한 요청이 들어오면 캐시를 사용해 빠르게 응답한다. 없으면 2단계로 넘어간다.
  2. 루트 네임서버(Root Name Server) 조회
    • .(루트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가진 루트 네임서버에 질의한다. 루트 서버는 해당 도메인의 TLD 서버 (.com)를 알려준다.
  3. TLD(Top-Level Domain: 최상위 도메인) 네임 서버 조회
    • 루트 네임서버에서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com TLD 네임서버에 naver.com 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 TLD 네임서버는 해당 도메인의 권한 있는 네임서버(Authoritative Name Server: 실제 도메인과 IP 주소의 관계가 기록된 서버) 주소를 반환한다.
  4. 권한 있는 네임서버 조회
    • *.naver.com 을 관리하는 네임서버에 최종적으로 A, AAAA 등의 DNS 레코드를 확인하고 IP 주소를 반환한다.
  5. 클라이언트에 IP 주소 전달
    • 반환받은 IP 주소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여 해당 IP 주소로 웹 서버에 접속한다.

DNS 주요 레코드 타입

도메인을 설정할 땐 다양한 DNS 레코드를 활용해 도메인의 기능을 세분화할 수 있다.

  • A 레코드: 도메인 이름을 IPv4 주소에 매핑한다.
  • AAAA 레코드: 도메인 이름을 IPv6 주소에 매핑한다.
  • CNAME 레코드: 하나의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의 별칭으로 설정할 때 사용한다.
  • MX 레코드: 이메일을 받을 서버를 지정할때 사용한다.
  • TXT 레코드: 도메인에 대한 추가적인 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
  • NS 레코드: 도메인이 사용하는 네임서버 정보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