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VPC와 Subnet
Post
Cancel

VPC와 Subnet

VPC?

VPC(Virtual Private Cloud)는 여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논리적으로 격리된 네트워크 공간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만의 사설망을 만들 수 있고,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Subnet?

Subnet은 VPC 내부의 네트워크를 더 세분화한 것이다. 하나의 VPC안에서 여러 개의 Subnet을 만들 수 있으며, 각 Subnet은 특정 가용 영역(AZ, Availability Zone) 내에 존재한다.

Subnet은 다시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Public SubnetPrivate Subnet으로 나눌 수 있다.

Public Subnet

외부 인터넷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 Subnet으로 공인 IP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IGW(Internet Gateway)를 통해 외부와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주로 웹 서버나 API 서버 등 외부와 통신이 필요한 리소스를 해당 Subnet에 둔다.

Private Subnet

외부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는 Subnet으로 공인 IP 주소를 가질 수 없으며,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NAT Gateway를 설정해야 한다.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 백엔드 서버 등 외부 접근이 불필요한 리소스를 해당 Subnet에 둔다.

NAT Gateway와 Internet Gateway

Internet Gateway(IGW)

VPC의 Public Subnet에 배치된 리소스가 외부 인터넷과 양방향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 VPC에 연결된 모든 Public Subnet은 IGW를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공용 IP를 가진 리소스에 대해 기본적으로 작동하며, 별도의 추가 설정 없이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NAT Gateway

Private Subnet의 리소스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내부에서 외부로의 트래픽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 Public Subnet에 배치되며, Private Subnet의 Routing Table에 NAT Gateway를 기본 게이트웨이로 설정해야 한다.

NAT Gateway는 Private Subnet에 속한 여러 개의 리소스가 하나의 공용 IP(NAT)를 통해 인터넷에 접근하도록 지원하며 외부에서 Private Subnet으로의 접근은 차단한다.

NAT Gateway 없이 Private Subnet에서 인터넷 사용하기

NAT Gateway 없이도 Public Subnet의 리소스를 프록시로 활용하여 NAT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면 Private Subnet의 리소스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프록시 서버의 관리 및 고가용성 설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